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년의 커리어, 다시 짓는 나라는 집(자격증, 네트워킹, 재교육)

by 부의설계도 2025. 7. 23.

중년의 커리어, 다시 짓는 나라는 집(자격증, 네트워킹, 재교육)


나는 어느 순간, 이름이 아니라 직책으로 불리고 있었다."○○팀장님", "○○이사님", "○○ 아버지"… 이름은 사라지고, 역할만 남았다.
40대 중반부터 50대까지, 인생이 점점 ‘정해진 틀’처럼 느껴졌다. 그 틀 안에서 나름 잘 살았다고 생각했는데, 이상하게 허전하다.
그래서 묻는다. 이제부터 나는 뭘 하고, 누구로 살아야 할까? 그 질문에 답을 찾기 위해, 나는 내 커리어를 다시 짓기로 했다.
도구는 세 가지. 자격증, 사람, 그리고 배움

🧰 자격증: 스펙이 아니라, 내가 되고 싶은 사람의 증명

솔직히 말하면 자격증이라는 단어에 좀 거부감이 있었다. 시험, 점수, 줄 세우기. 그런 것들과 이젠 좀 멀어지고 싶었다. 그런데 어느 날, 우연히 ‘가정상담사’라는 자격증을 알게 됐다. 별거 아닌 계기였다. 친구 부부의 갈등 상담을 해주다가"야, 너 이거 일로 해도 되겠다"는 말을 들었을 때. 그때 처음 느꼈다. 아, 자격증이라는 게 '나 이거 할 줄 알아요'를 증명하는 도구일 수 있겠구나. 학벌도, 나이도, 이력도 아니고.'지금의 나'를 ‘새롭게 설명하는 말’ 일 수 있겠다고. 그래서 나는 요즘 독서지도사, ITQ, 요양보호사 등을 검색하며 조용히 내 방향을 설계하고 있다. 물론, 취득만으로 인생이 확 바뀌진 않는다. 하지만 한 줄의 자격증이 나를 ‘가능성 있는 사람’으로 보이게 해 준다.그건 생각보다 큰 힘이다.

🧩 네트워킹: 인맥이 아니라, 말 걸 수 있는 사람

사람 만나는 거, 쉽지 않다. 특히 중년엔 더 그렇다."요즘 뭐 하세요?"라는 말이 칼처럼 느껴질 때도 있다. 하지만 그 ‘불편한 대화’를넘어서면, 의외의 기회들이 열린다. 요즘은 지역 커뮤니티 강좌, 스터디 모임, 그리고 SNS에서 ‘중년의 일과 삶’을 공유하는 계정들을 팔로우하면서 말 걸 수 있는 사람들을 늘려가고 있다. 링크드인 계정도 만들었다. 처음엔 쑥스러웠다. 내 경력 자랑하는 것 같아서.
근데 생각해 보니, 나를 소개하지 않으면 아무도 나를 몰라준다.‘아는 사람’보다 ‘함께할 사람’을 만나는 게 네트워킹이다. 그리고 그건 말수 많은 술자리가 아니라, 같은 방향을 걷는 사람들 속에서 조용히 이뤄진다.

🔧 재교육: 배움은 다시, 천천히, 나답게

배운다는 건 예전엔 '능력 키우기'였다. 지금은 ‘내가 하고 싶은 걸 스스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최근 디지털 교육 플랫폼을 찾아다닌다.왜냐하면 내 꿈은 ‘온라인 북클럽’을 운영하는 거니까. K-MOOC, HRD-Net, 서울시 평생학습포털… 야간 강의도 듣고, 유튜브 편집도 배우고 있다. 이 나이에 왜?'나만의 채널을 갖고 싶어서.'돈을 벌든 안 벌든, 내 목소리를 낼 공간이 필요하니까. 재교육은 공부가 아니라, 다시 말하고, 다시 배우고, 다시 쓰는 나의 이야기다. 어릴 땐 교과서가 답이었지만, 지금은 배움의 이유부터 내가 만든다.

🎯 결론: 나는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사람들이 말한다."이 나이에 뭘 새로 시작하냐고."그런데 가만히 생각해 보면, 그 말은 나를 정지시키는 주문 같았다.자격증은 내가 하고 싶은 일의 첫 문을 열어줬고, 네트워킹은 나와 닮은 사람들을 만나게 해 줬고,재교육은 내 안의 호기심을 다시 꺼내줬다.

그래서 나는 말한다. 중년은 끝이 아니라 다시 쓰는 서문이다. 그리고 그 서문을, 지금부터 내가 쓴다.